본문 바로가기

경제용어

가계부실위험지수란? (HDRI)

 

한국은행 자료에 의한 가계부실위험지수(HDRI : Housing Debit Risk Index)의 의미는 

 

"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,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 (DSR) 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/자산비율 (DTA)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이다." 

 

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%, 100%일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,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'위험가구'로 분류한다. 

 

라고 시작하는데, 일반인이 이해하기엔 조금 어렵다. 

 

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 빚을 갚을 능력으로 가구의 소득흐름뿐 아니라, 실물자산+금융자선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따지는 것이다. 

 

먼저 1) DSR이란? 신규, 기존 대출의 연간 원리금 / 연간소득 

 

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인 DSR은 상환능력 대비 원리금상환부담을 나타내는 것으로써, 가구가 보유한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누는 것으로, 대출에는 마이너스통장, 신용대출, 전세자금대출, 자동차할부금융등이 모두 포함된다. 

 

다음으로 2) DTA란? 

 

부채/자산비율로, 자산대비 부채비율을 의미하는 용어로 DTA가 기준치 100%이하면 부채 대비 자산이 충분한 수준으로 본다. 

 

DSR과 DTA를 바탕으로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각각 DSR과 DTA가 각각 40%와 100%일떄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하며, 이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가구를 "위험가구"로 보는 것이다.